CD 치료법
- Aminosalicylates (5-ASA)
- Corticosteroids
- 면역 조절제
- IBD용 생물학적 요법
- 항생제
Aminosalicylates (5-ASA)
예시
Mesalamine, sulfasalazine, olsalazine and balsalazide.
Aminosalicylates 무엇입니까?
5-aminosalicylic acid (5-ASA)를 함유하거나 방출하는 항염증 화합물로, CD에 대한 만성 질환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어떻게 작용합니까?
염증을 줄이기 위해 장 내막에 작용합니다.
부작용
mesalamine은 부작용으로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복통 및 피부 발진이 있습니다. 더 드물게는 혈액과 신경계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특정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려면 의사와 상의하거나 제품 정보를 참조하십시오.1
Corticosteroids (스테로이드 계통)
예시
Prednisone/prednisolone
Corticosteroids란 무엇입니까?
스테로이드계 의약품으로, 갑작스런 증상 악화의 단기 제어에 사용됩니다.
어떻게 작용합니까?
염증을 줄이고 면역 체계를 억제합니다.
부작용
일반적 부작용으로는 심한 복통이 있습니다. 정신 건강 문제 (우울, 자살, 감정 기복 등) 소화 장애, 근력 약화, 골다공증, 얼굴 둥글어짐 등이 있습니다. 특정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려면 의사와 상의하거나 제품 정보를 참조하십시오.2
면역 조절제
예시
Azathioprine, 6-mercaptopurine (6-MP), methotrexate and ciclosporin.
면역 조절제란 무엇입니까?
유지 치료로 사용되는, 신체의 면역 체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어떻게 작용합니까?
면역 조절제는 인체의 면역 체계를 무력화하여 진행성 염증을 일으키지 않게 합니다.
일반적으로 aminosalicylates와 스테로이드가 효과가 없었거나 부분적으로만 효과가 있는 사람들에게 사용됩니다. 스테로이드 용량을 줄이거나 다른 약물에 반응이 없는 사람들에게 증세 관해를 유지하기 위해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유형의 약물의 효과를 보려면 최대 3개월이 걸릴 수 있습니다.
부작용
일반적으로 azothiprine의 부작용으로는 감염, 백혈구와 적혈구의 감소, 위통, 메스꺼움 및 구토가 있습니다. Methotrexate는 독성 약물이며 폐의 염증, 혈액 질환, 심장, 폐 및 신장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임신을 계획하는 여성과 남성은 Methotrexate로 치료해서는 안되며 치료를 받는 동안 반드시 피임해야 합니다. 의사와 이야기하거나 제품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IBD용 생물학적 요법
예시
Infliximab 및 adalimumab.
IBD용 생물학적 요법이란 무엇입니까?
생물학적 요법은 최신 약물입니다.
어떻게 작용합니까?
IBD용 생물학적 요법이란 염증을 줄이기 위해 특정 작용을 차단하는 어떤 분자와 결합하는 항체로 구성됩니다. 생물학적 요법은 일반적으로 종양 괴사 인자 (TNF)에 결합하여 이를 비활성화 시킵니다. 염증에 역할을 하는 면역계의 단백질입니다.
부작용
주입 또는 주사할 때 피부가 붉어지고 팽창하고 가려움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infliximab은 위 통증, 매쓰꺼움, 헤르페스 또는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부비강염 및 두통과 같은 상부호흡기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adalimumab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두통, 복통, 메스꺼움 및 구토, 발진 및 근골격계 통증이 있습니다. 의사와 상의하거나 제품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항생제
예시
Metronidazole, ciprofloxacin.
항생제란 무엇입니까?
농양과 같은 감염이 발생할 때 사용됩니다.
어떻게 작용합니까?
박테리아를 파괴합니다.
부작용
metronidazole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간 문제 (황달), 혈액 장애 및 심한 위통. ciprofloxacin으로 치료하면 메스꺼움, 설사, 곰팡이 감염증, 백혈구 증가 및 식욕 감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정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보려면 의사와 상담하거나 제품 정보를 참조하십시오.
증상 완화 치료
비타민과 미네랄 보조제
예시
비타민 B12, 비타민 D, 아연 및 마그네슘 보충제.
비타민과 미네랄 보조제는 무엇인가요?
결핍 예방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 또는 미네랄 보충제를 일컫는 말입니다.
어떻게 작용합니까?
CD 환자에서 나타나는 소장 하부의 질병은 특정 비타민 (가장 일반적으로는 비타민 B12)의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드물게 비타민 D, 아연 및 마그네슘 보충제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심한 또는 만성적인 설사에서 체액 이외에 여분의 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의사에게 이야기하십시오.
약물 종류 | 예시 | 목적 | 복용법 |
---|---|---|---|
Aminosalicylates (5-ASA) | Sulfasalazine Mesalamine Olsalazine Balsalazide |
CD의 경증부터 중등도 발현 또는 질병의 재발 예방에 사용됩니다. | 경구 또는 직장으로 |
스테로이드 |
Prednisone Prednisolone |
경도에서 중등도 CD 치료에 사용됩니다. 중등도~중증의 CD 치료에 사용됩니다. 또한 갑작스런 증세악화의 단기 제어에 사용됩니다. |
경구용 경구용, 직장용 또는 정맥용 |
면역 조절제 |
Azathioprine 6-MP |
5-ASA 화합물과 스테로이드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사용됩니다.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효과가 있기까지 최대 3개월이 걸릴 수 있습니다. | 경구용 |
생물학적 요법 | Infliximab Adalimumab |
중등도~중증의 CD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증세 관해를 유지하고 스테로이드를 줄이는데 사용됩니다. |
정맥용 (infliximab) 피하 주사용 (adalimumab) |
항생제 | Metronidazole Ciprofloxacin |
농양과 같은 CD의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됩니다 | 스테로이드 경구용 또는 주사용 |
CD 수술
CD 환자의 약 3/49 은 언젠가는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약물이 증상을 조절하는데 더 이상 효과가 없는 경우
- 누관이나 갈라진 틈을 치료해야 할 경우.
- 장폐색이나 장내 농양과 같은 다른 합병증을 치료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일반적으로 수술은 CD를 치료하는 것은 아니며, 수술 후에도 자주 재발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장과 관련된 농양의 병변 부위가 제거됩니다 (이것은 절제술이라고 알려져 있음). 건강한 장의 양 끝단은 문합술 (anastomosis)이라고 불리는 시술로 결합됩니다. 절제와 문합을 하면 증상 없이 몇년 간 지낼 수 있지만, 문합 부위 또는 그 근처에서 자주 재발하기 때문에 이 수술이 CD의 치료법으로 간주되지는 않습니다. 일부 환자는 오랜 증상 관해기를 경험합니다. CD에서의 수술의 전반적인 목표는 최대한 건강한 장을 유지하여 가능한 최상의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일부 경우에는 돌창자 창냄술 (ileostomy)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전체 결장이 제거되고 작은 창자를 피부에 붙여서 배설물이 복부에 부착된 주머니 (스토마) 안으로 비워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시술은 직장이 병에 걸린 경우 자주 사용됩니다.
참고 문헌:
1: SmPC: Pentasa Slow Release Tablets 500mg (Ferring)
2: PIL: Prednisolone 2.5 and 5mg tablets (Actavis) 2011
3: PIL Azathioprine tablets (Aspen) 2012
4: PIL Methotrexate 10 mg Tablets (Hospira) 2013
5: PIL Remicade® 100 mg powder (MSD) 2013
6: PIL Humira 40 mg solution for injection (Abbvie)
7: PIL Flagyl 200mg tablets (Sanofi Aventis) 2011
8: PIL Ciproxin 250mg tablets (Bayer) 2013
9: World Gastroenterology Organisation Global Guidelines.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global perspective June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