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증
IBD 합병증은 특히 질병이 활동적일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소화기계 외부 (전신적) 뿐 아니라 소화기계 내부 (국소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장 내부 (국소적)
천공 (장의 구멍)
염증이 심할 경우, 장 벽이 얇아져서 뚫릴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장의 내용물이 주변으로 누출되어 복막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막염은 치명적일 수 있으며, 전문가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협착 (CD 환자에 한함)
CD의 가장 흔한 합병증입니다. 장기간 염증이 있는 경우 그 부위에 흉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 흉터가 창자를 좁혀서, 협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협착으로 인해 창자의 내용물이 마개처럼 되어, 장을 막을 수 있습니다.
(CD 환자)농양
농양 (종기)은 세균 감염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고름 주머니입니다. 농양은 빨갛고 부드럽고 따뜻하며 대부분 항문 (직장의 입구) 근처뿐 아니라 장 내부에서도 발생합니다. 농양의 치료는 외과적으로 농양의 내용물을 비워냅니다.
(CD 환자)누공
CD 환자의 약 30 %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내장의 깊숙한 염증이나 궤양은, 누공 이라고 불리는 통로로 변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소장의 다른 부위 (대부분 항문 근처) 또는 종종 방광, 질 또는 피부의 주변 조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불편함을 야기하는 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균열 (열상)
통증이 있는, 항문 주위 피부에 생기는 작은 균열 또는 찢어진 상처(열상) 입니다. 이는 출혈과 매우 고통스러운 배변을 야기할 수 있고, 누관이 형성될 수도 있습니다. 이들은 CD 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특히 배변 중에 경증부터 중증의 직장 통증 및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격 결장염
결장이 팽창 또는 부어 오를 수 있는 흔치 않은 합병증로, 장폐색증이라 불리는 상태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장벽의 정상적인 수축이 일시적으로 멈추고 위가 늘어나거나 부풀어 오를 수 있습니다. 증세가 진행됨에 따라 대장은 근육 긴장도를 잃어 확장되기 시작하고 가스가 내부에 갇히게 됩니다.
독성 거대결장증
이것은 IBD 환자에게 발생하는 가장 심각하고, 잠재적으로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합병증입니다. 결장은 제대로 수축하고 가스를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잃습니다. 위 부위가 심하게 붇거나 팽창될 수 있습니다. 복부에 고열과 통증과 과민성이 나타납니다. 즉각적인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소장 세균 과다증식증 (SIBO)
과도한 양의 세균이 소장에서 발생하여 가스, 복통, 팽창 및 설사를 유발하게 됩니다.
신체의 다른 부분 (전신적)
빈혈 (철분 부족)
대변으로 혈액이 소실되면 빈혈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염증은 적혈구를 생성하는 골수 세포의 능력을 저해할 수 있으며, 이것도 빈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피로하고 기분이 다운될 수 있습니다.
관절염
하나 이상의 관절에서 나타나는 부종, 발적 및 민감성을 동반하는 관절염으로, 큰 관절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이 합병증은 질병이 활동 중일 때 나타납니다.
관절통
부종이 없는 관절 통증으로, 대부분 손과 발의 작은 관절에서 발생합니다. 이것은 IBD 환자에게서 종종 나타납니다. 이러한 관절통은 IBD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암
특히 UC 환자에서 대장암이 발생할 위험이 소량 증가합니다. 일부 의학 연구에서는 5-아미노 살리실산 (5-ASA)이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했으나,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피부 발진
결절홍반 (Erythema nodosum)은 피부 발진의 한 유형으로, 큰 (0.5 ~ 2cm) 청적색의 부드러운 결절로 구성됩니다. 특히 정강이와 아래팔에 흔하게 나타납니다.
포도막염 (홍채의 염증)
포도막염은 눈 내부 근육의 염증입니다. 증상은 눈의 통증 (특히 밝은 빛), 흐린 시력, 두통 및 눈의 흰자위의 홍조를 포함하는데 즉시 치료해야 합니다.
간에 미치는 영향
매우 드문 합병증입니다. 염증이 간에서 담관의 협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피부 가려움과 피로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혈액 검사를 통해 발견됩니다.
(주로 CD환자)흡수장애 및 영양실조
CD는 일반적으로 영양소가 흡수되는 소장에 영향을 줍니다. CD의 증세가 심할 경우에는 흡수장애 및 영양부족 (단백질, 비타민 및 지방의 부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